반응형

IT정보/AWS 10

[AWS] Kinesis란? 간단정리

AWS Kinesis란?AWS Kinesis는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을 수집, 처리 및 분석하는 서비스입니다.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IoT 센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로그, 클릭 스트림 데이터, 소셜 미디어 피드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Kinesis의 개념, 주요 기능, 서비스 유형, 활용 사례 및 장단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AWS Kinesis란?AWS Kinesis는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을 위한 AWS의 Fully Managed 서비스입니다.기존 데이터 처리 방식과 달리, 배치(batch) 방식이 아닌 실시간(streaming) 방식으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 ..

IT정보/AWS 2025.03.11

[AWS] EventBridge 간단정리!

AWS EventBridge란? 개념부터 활용까지 상세 설명AWS EventBridge는 AWS 서비스 및 사용자 애플리케이션 간 이벤트를 연결하고 자동화할 수 있는 서버리스(event-driven) 이벤트 버스 서비스입니다. AWS 내부 서비스뿐만 아니라,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과도 통합할 수 있어 다양한 이벤트 기반 워크플로우를 구축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EventBridge의 개념, 주요 기능, 동작 방식, 주요 구성 요소, 활용 사례 및 설정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AWS EventBridge란?AWS EventBridge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간 이벤트를 전달하고, 다양한 AWS 서비스와 연계하여 자동화할 수 있는 이벤트 버스(Event Bus) 서비스입니다.기존 Ama..

IT정보/AWS 2025.03.10

[AWS] CloudWatch란? 간단 정리!

AWS CloudWatch란? 개념부터 활용까지 상세 설명AWS CloudWatch는 AWS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실시간 로그 분석, 성능 모니터링, 알람 설정, 지표 수집, 이벤트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AWS 환경의 가용성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CloudWatch의 개념, 주요 기능, 사용 방법, 요금제, 활용 사례 및 설정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AWS CloudWatch란?CloudWatch는 AWS의 주요 리소스(EC2, Lambda, RDS 등)를 모니터링하고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각화 및 분석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이를 통해 시스템의 이상 탐지, 자동 확장, 장애 감지 및 대응 등을 자동화할..

IT정보/AWS 2025.03.10

[AWS] IAM이란? 요점 간단 정리

AWS IAM이란?AWS(Amazon Web Services) 환경에서 보안을 유지하고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려면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을 활용해야 합니다. IAM은 AWS 사용자, 그룹, 역할(Role) 및 정책(Policy)을 관리하는 서비스로, 사용자 인증과 권한 관리를 통해 AWS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IAM의 개념, 주요 기능, 정책 유형, 보안 모범 사례, 비용 구조 및 활용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AWS IAM이란?AWS IAM은 사용자와 서비스의 액세스 권한을 제어하는 보안 서비스입니다. AWS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권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IAM을 활용하면 각 사..

IT정보/AWS 2025.03.04

[AWS] Lambda란? 요점 간단 정리

AWS LambdaAWS Lambda는 서버를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서버리스 컴퓨팅(Serverless Computing) 서비스입니다. Lambda를 사용하면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만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 Lambda의 개념, 작동 방식, 주요 기능, 활용 사례, 비용 구조, 보안 설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AWS Lambda란?Lambda는 AWS에서 제공하는 서버리스(Serverless) 환경에서 코드 실행을 관리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운영할 필요 없이, 이벤트 기반으로 코드를 실행하고 결과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Lambda는 여러 AW..

IT정보/AWS 2025.03.03

[AWS] EBS & EFS란? 요점 간단 정리

AWS EBS & EFS란?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AWS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중에서도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스토리지 서비스가 EBS(Elastic Block Store)와 EFS(Elastic File System)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BS와 EFS의 개념, 차이점, 주요 기능, 사용 방법, 비용, 보안 설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EBS(Elastic Block Store)란?EBS는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되는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인 하드디스크(HDD) 또는 SSD처럼 특정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을 직접 설치하고 운영해야 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스토..

IT정보/AWS 2025.03.03

[AWS] EC2란? 요점 간단 정리

AWS EC2란? 클라우드에서 확장 가능한 서버 인프라 구축AWS(Amazon Web Services)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컴퓨팅 서비스는 **EC2(Elastic Compute Cloud)**입니다. EC2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양의 가상 서버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EC2의 개념, 주요 기능, 인스턴스 유형, 활용 방법, 비용 구조, 보안 설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AWS EC2란 무엇인가?EC2(Elastic Compute Cloud)는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 서비스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생성, 확장 및 축소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EC2를 사용하면 물리적인 서버를 직접 구매하고 운영할 필요 ..

IT정보/AWS 2025.03.03

[AWS] Certificate Manager(ACM)란? 요점 간단 정리

AWS Certificate Manager(ACM)란?AWS에서는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SSL/TLS 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서비스가 AWS Certificate Manager(ACM)입니다. ACM을 활용하면 인증서의 발급, 배포, 갱신, 관리를 AWS 환경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CM의 개념부터 주요 기능, 활용 방법, 보안 설정 및 비용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AWS Certificate Manager(ACM)란?AWS Certificate Manager(ACM)는 AWS 서비스에서 사용할 SSL/TLS 인증서를 손쉽게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ACM을 사용하면 수..

IT정보/AWS 2025.03.03

[AWS] KMS(Key Management Service)란? 요점 간단 정리

AWS KMS(Key Management Service)AWS에서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 기술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그중에서도 AWS KMS(Key Management Service)는 강력한 암호화 키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 KMS의 개념, 주요 기능, 활용 방법, 보안 설정 및 비용까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AWS KMS란 무엇인가?AWS KMS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암호화 키를 안전하게 생성,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암호화 키를 사용하거나, 직접 고유한 키를 생성하여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AWS KMS는 FIPS 140-2 인증을 받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을 사용하여 키를 보호..

IT정보/AWS 2025.03.03

[AWS] VPC(Virtual Private Cloud)란? 요점 간단 정리

AWS VPC(Virtual Private Cloud)AWS(Amazon Web Services)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VPC(Virtual Private Cloud)는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VPC를 통해 사용자는 AWS 클라우드 내에서 자신만의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만들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VPC의 개념부터 구성 요소, 네트워크 설계, 보안, 그리고 최적화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VPC란 무엇인가?VPC는 AWS 클라우드 내에서 격리된 가상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서비스입니다. 사용자는 VPC 내에서 서브넷을 나누고, IP 주소 범위를 설정하고, 보안 그룹 및 라우팅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퍼블릭 및 프라이빗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

IT정보/AWS 2025.03.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