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96

Harbor란? 간단 개념정리!

Harbor란? 개념부터 기능까지 자세한 설명Harbor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컨테이너 이미지 레지스트리(Registry)입니다.기본적으로 Docker Registry 기능을 확장한 고급 기능들을 제공하며, 보안, 권한 관리, 감사 로깅, 복제, 스캐닝 등 기업 환경에서 필요한 기능을 종합적으로 포함하고 있어 쿠버네티스(Kubernetes) 기반 인프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프로젝트는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CNCF)의 인큐베이티드 프로젝트이며, VMware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1. Harbor의 개념Harbor는 컨테이너 이미지 저장소를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맞게 보완한 시스템입니다.Docke..

IT정보 2025.04.16

STT(Speech-to-Text)란? 간단 정리!

STT(Speech-to-Text)란? 개념부터 활용까지 상세 설명STT(Speech-to-Text)란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입니다.AI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고, 이를 자동으로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STT는 자연어 처리(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및 기계 학습(ML, Machine Learning)을 활용하여 인식률을 높이며, 최근에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AI 모델을 적용하여 더욱 정교한 변환이 가능합니다.STT 기술은 음성 기반 서비스, 자동 자막 생성, 회의록 작성, 고객 서비스, 음성 명령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1. STT(Speech-to-Text)란?STT(Speec..

IT정보 2025.03.20

FC Cable의 OM1, OM2, OM3, OM4

FC Cable의 OM1, OM2, OM3, OM4란? 개념부터 활용까지 상세 설명FC(Fiber Channel) 케이블은 데이터 센터, SAN(Storage Area Network), 고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입니다. FC 케이블은 광섬유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등급이 있으며, OM(Optical Multimode) 등급은 다중 모드(Multimode) 광섬유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입니다.OM1, OM2, OM3, OM4는 다중 모드 광섬유(MMF, Multi-Mode Fiber)에서 전송 속도, 대역폭, 전송 거리 등에 따라 분류된 등급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OM 등급의 차이점과 주요 특징, 활용 사례 및 선택 기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OM 등급이란?OM(O..

IT정보/인프라 2025.03.19

암호화폐에서의 토큰(Token)이란?

암호화폐에서의 토큰(Token)이란? 개념부터 활용까지 상세 설명암호화폐에서 토큰(Token) 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생성되고,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비트코인(BTC)이나 이더리움(ETH)과 같은 자체 블록체인을 가진 코인(Coin)과 달리, 토큰은 기존 블록체인(예: 이더리움, 솔라나,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위에서 발행됩니다.토큰은 결제 수단, 스마트 계약 실행, 보상 시스템, NFT, 보안성 토큰(Security Token)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암호화폐 토큰의 개념, 주요 유형, 활용 사례, 생성 방법 및 장단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암호화폐에서 토큰이란?암호화폐에서 토큰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으로, 특정 네트워크 위에서 스..

IT정보 2025.03.18

[HPUX] APA와 설정방법

HPUX APA란? 개념부터 활용까지 상세 설명HP-UX APA(Auto Port Aggregation)는 HP-UX 운영 체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집계(Aggregation)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고, 고가용성을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네트워크 포트 결합을 통해 부하 분산(Load Balancing), 장애 복구(Failover), 대역폭 확장(Bandwidth Aggregation)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HP-UX APA의 개념, 주요 기능, 구성 방식, 설정 방법 및 장단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HPUX APA란?HP-UX APA(Auto Port Aggregation)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여러 개를 하나로 묶어 단일 논리 인터페이스로 동작..

Linux/Network 2025.03.16

[Network] Teaming이란?

Windows Teaming이란?Windows Teaming은 여러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를 묶어 하나의 논리적 인터페이스로 운영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가용성을 높이고, 부하 분산(Load Balancing) 및 장애 복구(Failover)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Windows Server 환경에서는 NIC Teaming이라는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어댑터를 팀으로 구성하고, 가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Windows Teaming의 개념, 주요 기능, 구성 방식, 설정 방법 및 장단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Windows Teaming이란?Windows Teaming(또는 NIC Teaming)은 둘 이..

Linux MCCS란? 간단정리

Linux MCCS란? 개념부터 활용까지 상세 설명Linux MCCS(Multi-Cluster Configuration System)는 리눅스 환경에서 다중 클러스터를 관리하고 구성하는 시스템입니다. 클러스터 환경에서 노드 간의 구성 설정을 중앙에서 관리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대규모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운영과 관리가 가능하며, 클러스터 내 자원 할당, 네트워크 설정, 애플리케이션 배포 등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Linux MCCS의 개념, 주요 기능, 구성 요소, 사용 사례 및 장단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Linux MCCS란?Linux MCCS는 멀티 클러스터 환경에서의 자동화된 관리 및 설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리눅스 기반의 서버 및..

[AWS] Kinesis란? 간단정리

AWS Kinesis란?AWS Kinesis는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을 수집, 처리 및 분석하는 서비스입니다.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IoT 센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로그, 클릭 스트림 데이터, 소셜 미디어 피드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Kinesis의 개념, 주요 기능, 서비스 유형, 활용 사례 및 장단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AWS Kinesis란?AWS Kinesis는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을 위한 AWS의 Fully Managed 서비스입니다.기존 데이터 처리 방식과 달리, 배치(batch) 방식이 아닌 실시간(streaming) 방식으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 ..

IT정보/AWS 2025.03.11

클래스(Class), 메소드(Method), 인스턴스(Instance) 간단 정리!

Java의 클래스(Class), 메소드(Method), 인스턴스(Instance) 개념 정리Java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 언어로, 클래스(Class), 메소드(Method), 인스턴스(Instance) 개념이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개념을 정확하게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클래스, 메소드, 인스턴스의 개념과 역할, 차이점 및 코드 예제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클래스(Class)란?클래스는 객체(Object)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 또는 템플릿입니다.즉, 데이터(필드)와 기능(메소드)을 포함하는 하나의 구조체이며, 동일한 속성과 기능을 갖는 객체를 만들 수 있도록 정의합니..

IT정보/개발 2025.03.11

UML(Unified Modeling Language)란? 간단 정리!

UML(Unified Modeling Language)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설계 및 모델링을 위한 표준화된 다이어그램 표현 방식입니다. 개발자가 시스템의 구조, 동작, 상호작용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UML의 개념, 필요성, 주요 다이어그램 유형, 활용 사례 및 장단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UML이란?UML은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을 시각적으로 모델링하는 표준 언어입니다.소프트웨어 개발자, 설계자, 프로젝트 관리자 등이 소프트웨어의 아키텍처, 기능, 동작 흐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문서화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UML은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개..

IT정보/개발 2025.03.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