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AWS

[AWS] CloudWatch란? 간단 정리!

TechN 2025. 3. 10. 12:30
반응형

AWS CloudWatch란? 개념부터 활용까지 상세 설명

AWS CloudWatch는 AWS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실시간 로그 분석, 성능 모니터링, 알람 설정, 지표 수집, 이벤트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AWS 환경의 가용성과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CloudWatch의 개념, 주요 기능, 사용 방법, 요금제, 활용 사례 및 설정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AWS CloudWatch란?

CloudWatch는 AWS의 주요 리소스(EC2, Lambda, RDS 등)를 모니터링하고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각화 및 분석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이상 탐지, 자동 확장, 장애 감지 및 대응 등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로그 파일을 분석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2. AWS CloudWatch의 주요 기능

  1. 지표(Metrics) 수집 및 모니터링
    • EC2, RDS, Lambda 등 AWS 서비스에서 성능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각화할 수 있습니다.
  2. 로그(Log) 분석
    •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 로그를 수집하고 검색하여 문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알람(Alarms) 설정
    •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알람을 발생시키고 자동 조치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대시보드(Dashboards) 생성
    • 수집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빠르게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5. 이벤트(Event) 관리
    •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Lambda, SNS, SQS 등을 트리거할 수 있습니다.
  6. 자동 확장(Auto Scaling)과 연동
    • CPU 사용량 등을 기준으로 EC2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3. AWS CloudWatch의 주요 구성 요소

AWS CloudWatch는 여러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기능이 AWS 인프라의 모니터링과 관리를 담당합니다.

구성 요소 설명
CloudWatch Metrics AWS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데이터를 수집
CloudWatch Logs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 가능
CloudWatch Alarms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알람을 발생
CloudWatch Dashboards 모니터링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
CloudWatch Events 이벤트 기반 트리거로 AWS 서비스와 연동 가능
CloudWatch Synthetics 애플리케이션 가용성을 모니터링하는 도구

4. AWS CloudWatch 작동 방식

  1. AWS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 및 지표 수집
    • EC2, RDS, Lambda, API Gateway 등의 데이터를 CloudWatch에 저장합니다.
  2. 수집된 데이터를 CloudWatch Metrics 및 Logs에서 분석
    •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저장되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CloudWatch Alarms를 이용하여 이상 감지 및 자동 대응
    • 예를 들어, CPU 사용률이 80%를 초과하면 EC2 인스턴스를 자동 확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4. CloudWatch Dashboards에서 데이터 시각화
    • 운영팀은 대시보드를 통해 전체 AWS 인프라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5. CloudWatch Events를 사용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작업 자동화
    • 예를 들어, 특정 로그가 감지되면 Lambda 함수를 실행하여 대응할 수 있습니다.

5. AWS CloudWatch 요금제

CloudWatch는 기본적인 모니터링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지만, 추가 기능 사용 시 비용이 발생합니다.

요금 항목 설명 무료 제공량
CloudWatch Metrics 표준 및 사용자 정의 지표 월 10개 지표, 5GB 데이터
CloudWatch Logs 로그 저장 및 분석 월 5GB 로그 저장
CloudWatch Alarms 모니터링 및 알람 설정 월 10개 알람
CloudWatch Dashboards 시각화 도구 제공 월 3개 대시보드

6. AWS CloudWatch 활용 사례

  1. EC2 및 RDS 모니터링
    •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I/O 모니터링
  2.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로그 분석
    • Lambda 실행 로그 및 API Gateway 요청 기록 분석
  3. 자동 확장(Auto Scaling) 설정
    • EC2 인스턴스를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증설 또는 축소
  4. 보안 및 장애 감지
    • 특정 로그 패턴이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하여 대응
  5.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
    • 지연 시간, 에러율, 응답 속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최적화

7. AWS CloudWatch 설정 방법

  1. AWS 콘솔에서 CloudWatch로 이동
    • AWS Management Console에 로그인 후 CloudWatch 서비스 선택
  2. 모니터링할 리소스 선택
    • EC2, RDS, Lambda 등의 AWS 리소스를 선택
  3. 지표(Metrics) 및 로그(Log) 수집 설정
    • 필요한 메트릭을 선택하고 CloudWatch Logs에 저장하도록 설정
  4. 알람(Alarms) 생성
    • 특정 지표(CPU 사용량, 네트워크 트래픽 등)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하여 알람을 생성
  5. 대시보드(Dashboards) 생성 및 시각화
    •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시보드를 생성하여 운영 상태를 모니터링
  6. CloudWatch Events 설정
    • 특정 이벤트(서버 장애, 로그 패턴 감지 등) 발생 시 Lambda 함수 실행 등의 자동 작업 구성

8. AWS CloudWatch의 장점과 단점

장점 설명
AWS와의 높은 통합성 AWS 서비스와 자동으로 연동 가능
실시간 모니터링 실시간 로그 분석 및 성능 데이터 수집
자동 알람 및 대응 특정 조건 충족 시 자동 조치 수행 가능
대시보드 제공 데이터 시각화로 운영팀이 쉽게 모니터링 가능

 

단점 설명
비용 부담 대량의 로그 저장 시 비용 증가 가능
데이터 보존 기간 제한 기본 제공되는 데이터 보존 기간이 제한됨
AWS 전용 AWS 이외의 환경에서는 활용이 어려움

9. AWS CloudWatch의 미래 전망

  1. AI 및 머신러닝 기반 모니터링 강화
    • 이상 탐지 및 예측 분석 기능이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서버리스 환경에서의 활용 증가
    • Lambda, Fargate 등의 서버리스 기술이 확장되면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3. 보안 및 규정 준수 기능 추가
    • 로그 및 이벤트 분석을 통한 보안 강화가 더욱 발전할 것입니다.

10. 간단 요약

  1. AWS CloudWatch는 AWS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로그를 분석하며, 알람을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2. EC2, RDS, Lambda 등과 연동하여 지표를 수집하고 자동 확장(Auto Scaling) 및 이벤트 트리거 기능을 제공한다.
  3. 대량의 로그 저장 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운영 환경에 맞게 효율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IT정보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Kinesis란? 간단정리  (0) 2025.03.11
[AWS] EventBridge 간단정리!  (0) 2025.03.10
[AWS] IAM이란? 요점 간단 정리  (0) 2025.03.04
[AWS] Lambda란? 요점 간단 정리  (0) 2025.03.03
[AWS] EBS & EFS란? 요점 간단 정리  (0) 202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