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11

데비안 리눅스란 ?

데비안 리눅스란 무엇일까?데비안 리눅스는 오픈소스 운영체제 중 하나로, 안정성과 신뢰성으로 유명한 배포판입니다.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프로젝트로, 전 세계 개발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업을 통해 유지 및 발전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데비안 리눅스의 특징, 장단점, 그리고 주요 활용 사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데비안 리눅스의 개념데비안 리눅스는 1993년 이언 머독(Ian Murdock)에 의해 시작된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오픈소스 철학과 자유 소프트웨어 가치를 바탕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수정, 배포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하지만,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서버 환경을 모두 지원하는 것이 특징입니다.오픈소스 기반의 자유로운 운영체제다양한 아키..

Linux 2025.02.13

리눅스 기본 및 필수 명령어 정리

리눅스 기본 명령어 소개 1.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리눅스에서는 모든 것이 파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렉토리를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됩니다. 파일과 디렉토리를 다루는 기본 명령어를 알아봅시다.ls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을 표시합니다.ls 또는 ls -lcd디렉토리를 이동합니다.cd /home/userpwd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표시합니다.pwdmkdir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mkdir new_folderrmdir비어 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rmdir old_folderrm파일을 삭제하거나, 옵션을 통해 디렉토리도 삭제합니다.rm file.txt, rm -r foldercp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합니다.cp source.txt destination.txtmv파일이나 디렉토..

Linux 2025.02.13

우분투(Ubuntu ) 리눅스란?

우분투 리눅스 소개: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가이드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우분투'라는 이름을 한 번쯤 들어봤을 거예요. 우분투는 리눅스 배포판 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버전 중 하나로,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와 광범위한 커뮤니티 지원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분투가 무엇인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그리고 왜 많은 사람들이 우분투를 선택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우분투란 무엇인가요?우분투는 데비안 리눅스를 기반으로 개발된 무료 오픈소스 운영체제입니다. 2004년에 처음 출시된 이후, 사용하기 쉬운 환경과 안정성 덕분에 빠르게 인기를 얻었습니다. '우분투'라는 이름은 남아프리카의 철학에서 따온 말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인간성'을 ..

IT정보 2025.02.12

대표적인 리눅스의 종류 간단정리

리눅스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리눅스는 다양한 용도와 사용자 환경에 맞춰 여러 가지 배포판이 존재합니다. 각각의 배포판은 목적과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필요에 맞는 배포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리눅스 배포판을 소개하면서 각각의 특징과 용도를 알려드릴게요.리눅스란?리눅스는 유닉스에서 파생된 운영체제로, 오픈소스로 제공된다. 이는 사용자가 운영체제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수정하고 배포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 덕분에 다양한 회사와 개발자들이 자신만의 배포판을 만들어 제공하고 있다.이제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와 특징을 하나씩 살펴보자. 리눅스 배포판 비교우분투직관적 UI, 정기 업데이트개인용, 서버, 개발 환경쉬움페도라최신 기술 반영, 강력한 보안개발자, ..

IT정보 2025.02.12

오픈소스란? 간단 정리!

오픈소스란 무엇인가? 일반인을 위한 쉬운 설명오늘날 IT 기술과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빠질 수 없는 개념이 바로 오픈소스(Open Source)입니다. 오픈소스는 단순히 개발자들만을 위한 개념이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다양한 혜택과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오픈소스의 정의부터 예시, 장단점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오픈소스란?오픈소스는 소스 코드(source code)를 누구나 볼 수 있고, 수정하거나 배포할 수 있도록 공개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소프트웨어의 설계도인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이나 기업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1.1 오픈소스의 특징소스 코드 공개: 누구나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조를 볼 수 있음자유로운 수정 및 배포: 원하는 대로 수정하거나 재배포 가..

IT정보 2025.02.07

아이노드(inode)란? 파일 시스템의 핵심

아이노드(inode)란? 파일 시스템의 핵심 개념 쉽게 이해하기파일 시스템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아이노드(inode)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은 평소에 아이노드를 직접 다룰 일이 거의 없지만,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알아두면 매우 유용합니다.1. 아이노드란 무엇인가?아이노드는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쉽게 말해, 운영체제가 파일을 저장할 때 파일 자체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해당 파일의 속성을 따로 관리하는 구조가 필요한데, 이를 담당하는 것이 아이노드입니다.1.1 아이노드가 저장하는 정보아이노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합니다.파일 유형: 일반 파일, 디렉토리, 심볼릭 링크 등파일 크기: 파일이 차지하는 바이트..

IT정보 2025.02.06

운영체제(OS)란 ? 간단 정리!

운영체제의 구성 요소: 개념부터 핵심 기능까지 완벽 정리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소프트웨어다. 운영체제가 없다면 컴퓨터는 단순한 하드웨어 집합체에 불과하다. 운영체제는 커널(Kernel),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 장치 관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여러 요소로 구성되며, 이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어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운영한다. 이번 글에서는 운영체제의 핵심 구성 요소를 자세히 정리한다.1. 운영체제란?운영체제(OS)는 컴퓨터 시스템을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다. 구분 설명정의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고, 시스템을 운영하는 기본 프로그램역할하드웨어 자원 관리, 사용자 환경 제공, 프로그램 ..

IT정보 2025.02.06

커널이란? 간단 정리!

커널이란? 개념부터 원리까지 완벽 정리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커널(Kernel이라는 용어를 접할 때가 있다. 커널은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의 핵심 요소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글에서는 커널의 개념, 역할, 종류, 작동 원리, 커널이 중요한 이유, 그리고 커널 업데이트의 필요성까지 최대한 자세히 설명한다.1. 커널(Kernel)이란?커널(Kernel)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다리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실행하는 모든 프로그램은 결국 커널을 통해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하게 된다.정의운영체제의 핵심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연결하는 역할기능CPU, 메모리, 저장 장치, 네트워크 등의 자원 관리위치운영체제의 가장..

IT정보 2025.02.06

리눅스 디스크 교체 후 LVM작업

디스크교체 후, 아래와 같은 작업순서대로 진행한다. 1. 파티션작업# fdisk /dev/hdbn  -> n 엔터 (새 파티션 추가) -> p 엔터 (primary partition (1-4)) ; 주파티션이면 p, 확장파티션이면 e -> 1 엔터 (파티션 넘버 입력) -> 엔터 (First cylinder 1-1792, default 1:) -> 엔터 (last cylinder) -> t 엔터 (change a partition's system id) -> l 엔터 (type L to list codes)-> 8e (linux LVM이 8e다) -> w 엔터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2. PV생성pvcreate /dev/sdb1                  //추가된 파..

Linux/LVM 2025.01.30

리눅스 Bonding의 종류

Linux 본딩(Network Bonding)이란 여러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존재하는 인터페이스로 연결을 증가시키거나, 더블화(Failover)를 통해 가용성을 공유하는 기술 #mode 0 (balance Round Robin)2개의 NIC을 순차적으로 분배 + Fault Tolerance회선이 2회선일 경우 트래픽을 같이 사용할 수 있어 대역폭을 분산시키는데 효율적이다.네트워크에 단절이 오더라도 이를 보안하는 기능이 존재한다. #mode 1 (active - backup) /타 운영체제에서는 (active - standby)라고함네트워크 이중화 용도로 사용된다. 실제 사용시에는 2개의 백본에 2개의 NIC이 연결이 되며, 활성화 되어있는 NIC에 문제 발생시 예비 NIC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Linux/Network 2025.01.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