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교체 후, 아래와 같은 작업순서대로 진행한다.
1. 파티션작업
# fdisk /dev/hdbn
-> n 엔터 (새 파티션 추가)
-> p 엔터 (primary partition (1-4)) ; 주파티션이면 p, 확장파티션이면 e
-> 1 엔터 (파티션 넘버 입력)
-> 엔터 (First cylinder 1-1792, default 1:)
-> 엔터 (last cylinder)
-> t 엔터 (change a partition's system id)
-> l 엔터 (type L to list codes)-> 8e (linux LVM이 8e다)
-> w 엔터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2. PV생성
pvcreate /dev/sdb1 //추가된 파티션 PV생성
3. VG생성 및 확장
vgcreate VG01 /dev/sdb1 //VG01 을 새로 만들경우
vgextend VG00 /dev/sdb1 //VG00 확장할 경우
4. LV생성 및 확장
lvcreate -n lvol01 -L 20G VG00 //lv를 VG00에 새로 만들 경우
lvextend -L 200G -r /dev/VG00/root //기존 lv에 200G 확장할 경우
lvextend -L+1T -r /dev/VG00/root //기존 lv에 1T 확장할 경우
5.LV를 새로만들었다면 파일시스템 포맷 (기존 LV확장은 파일시스템 포맷하지 않아도 됨)
mkfs.ext4 /dev/VG00/lvol //새로만든 lvol 파일시스템 포맷
6.Mount Point 생성 (기존 위치에 Mount 할 시 생략)
mkdir /mnt/data //Mount Point 생성
7. Filesystem Mount
mount /dev/VG00/lvol /mnt/data //File system Mount
8. fstab 등록
#vi /etc/fstab //fstab 등록
/dev/myvg/dtlv /mnt/data ext3 defaults 0 0
'Linux > LV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LVM 마이그레이션 구성 간단정리 (0) | 2025.01.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