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정보/AWS

[AWS] EBS & EFS란? 요점 간단 정리

TechN 2025. 3. 3. 15:47
반응형

AWS EBS & EFS란?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

AWS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양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그중에서도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스토리지 서비스가 EBS(Elastic Block Store)와 EFS(Elastic File System)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EBS와 EFS의 개념, 차이점, 주요 기능, 사용 방법, 비용, 보안 설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EBS(Elastic Block Store)란?

EBS는 EC2 인스턴스에서 사용되는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일반적인 하드디스크(HDD) 또는 SSD처럼 특정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을 직접 설치하고 운영해야 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스토리지, 시스템 디스크 용도로 사용됩니다.

2. EFS(Elastic File System)란?

EFS는 AWS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 서비스로, 여러 개의 EC2 인스턴스에서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공유 스토리지입니다. 자동 확장 기능을 제공하며, 파일 기반의 데이터 저장 및 공유가 필요한 환경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3. EBS와 EFS의 차이점

비교 항목 EBS (Elastic Block Store) EFS (Elastic File System)
연결 방식 특정 EC2 인스턴스에 연결 여러 EC2 인스턴스에서 동시에 연결 가능
성능 블록 스토리지로 높은 IOPS 제공 파일 기반 스토리지로 확장성 높음
확장성 수동으로 크기 확장 필요 자동 확장 지원
사용 용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공유 스토리지, 로그 저장, 웹 서버
요금 부과 방식 프로비저닝된 용량 기준 사용한 만큼만 비용 부과
내구성 AZ 단위에서 복제 리전 단위에서 복제

4. EBS의 유형과 사용 방법

EBS는 성능과 비용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각각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BS 유형 설명 주요 용도
GP3 (General Purpose SSD) 고성능 SSD, IOPS와 스토리지를 분리하여 설정 가능 일반적인 EC2 인스턴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GP2 (General Purpose SSD) 이전 세대 SSD, 용량에 따라 IOPS 자동 증가 웹 서버, 일반적인 운영 환경
IO1 / IO2 (Provisioned IOPS SSD) 높은 IOPS를 제공하는 SSD, 고성능 데이터 처리에 적합 데이터베이스,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
ST1 (Throughput Optimized HDD) 대량의 데이터를 읽고 쓰는 데 최적화된 HDD 빅데이터 분석, 로그 저장
SC1 (Cold HDD) 낮은 비용의 HDD, 자주 접근하지 않는 데이터 저장 백업, 장기 보관 데이터

EBS 볼륨 생성 및 사용 방법

  1. EBS 볼륨 생성
    • AWS 콘솔에서 EC2 서비스로 이동하여 EBS 볼륨을 생성합니다.
    • 용량, 성능(SSD/HDD), 가용 영역(AZ)을 선택합니다.
  2. EC2 인스턴스에 연결
    • 생성한 EBS 볼륨을 특정 EC2 인스턴스에 연결합니다.
    • 리눅스 환경에서는 lsblk 명령어로 확인하고, mkfs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EBS 스냅샷 생성 및 복원
    • EBS 볼륨의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해 스냅샷(Snapshot)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필요할 때 해당 스냅샷을 기반으로 새로운 볼륨을 생성하여 복원할 수 있습니다.

5. EFS의 특징과 사용 방법

EFS는 파일 기반 스토리지로, 여러 개의 EC2 인스턴스에서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공유 스토리지입니다. 스토리지 크기가 자동으로 확장되므로, 용량을 사전에 프로비저닝할 필요가 없습니다.

EFS의 주요 특징

  1. 서버리스 파일 스토리지
    • EC2 인스턴스에 직접 연결하여 파일을 저장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
  2. 자동 확장
    • 저장 공간을 자동으로 확장 및 축소하여 운영이 간편합니다.
  3. 고가용성 및 내구성
    • 여러 가용 영역(AZ)에 데이터를 복제하여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EFS 사용 방법

  1. EFS 파일 시스템 생성
    • AWS 콘솔에서 EFS를 생성하고, 접근 가능한 VPC 및 서브넷을 설정합니다.
  2. EC2 인스턴스에서 마운트
    • 리눅스 환경에서는 mount 명령어를 사용하여 EFS를 특정 디렉터리에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3. ACL 및 보안 그룹 설정
    • EFS의 접근 제어를 위해 IAM 정책 및 보안 그룹을 설정하여 보안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6. EBS와 EFS의 비용 구조

EBS와 EFS는 비용 부과 방식이 다르므로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교 항목 EBS EFS
요금 부과 방식 프로비저닝된 용량 기준 사용한 용량만큼 요금 부과
기본 요금 1GB당 월 $0.10~$0.125 1GB당 월 $0.30~$0.35
데이터 전송 비용 AZ 간 전송 시 요금 발생 AZ 간 전송 무료
스냅샷 비용 저장된 스냅샷 용량 기준 해당 없음
  • EBS는 프로비저닝된 용량을 기준으로 요금이 부과되므로, 사용하지 않는 볼륨도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EFS는 사용한 만큼만 요금이 부과되지만, 기본 요금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7. EBS 및 EFS 보안 설정

  1. IAM 정책을 활용한 접근 제어
    • EBS 및 EFS에 접근할 수 있는 EC2 인스턴스를 제한하여 보안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2. 백업 및 스냅샷 활용
    • EBS의 경우 스냅샷을 정기적으로 생성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해야 합니다.
  3. 암호화 설정
    • AWS KMS(Key Management Service)를 활용하여 EBS 볼륨과 EFS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습니다.
  4. 보안 그룹(Security Group) 설정
    • EFS는 여러 인스턴스에서 공유하므로, 네트워크 보안 그룹을 통해 접근을 제한해야 합니다.

 

  간단 요약

  1. EBS는 특정 EC2 인스턴스에 연결되는 블록 스토리지이며, EFS는 여러 인스턴스에서 공유할 수 있는 파일 스토리지이다.
  2. EBS는 성능과 용량을 직접 설정해야 하지만, EFS는 자동 확장을 지원하여 운영이 편리하다.
  3. 비용을 고려할 때, EBS는 프로비저닝된 용량 기준으로 요금이 부과되며, EFS는 사용한 만큼만 비용이 청구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