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twork 2

OSI 7계층 간단정리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이란?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설명하는 국제 표준 모델입니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역할을 정의합니다. 이 모델을 통해 네트워크의 구조화, 표준화, 문제 해결이 용이해집니다. 1.물리 계층 (Physical Layer)역할: 데이터를 전기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주요 장비: 허브, 리피터, 케이블, 모뎀 2.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역할: 물리 계층에서 송수신된 신호를 프레임(Frame) 단위로 변환 및 오류 감지주요 프로토콜: MAC(Media Access Control), ARP(Address Resolution Pro..

Network 2025.01.30

리눅스 Bonding의 종류

Linux 본딩(Network Bonding)이란 여러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존재하는 인터페이스로 연결을 증가시키거나, 더블화(Failover)를 통해 가용성을 공유하는 기술 #mode 0 (balance Round Robin)2개의 NIC을 순차적으로 분배 + Fault Tolerance회선이 2회선일 경우 트래픽을 같이 사용할 수 있어 대역폭을 분산시키는데 효율적이다.네트워크에 단절이 오더라도 이를 보안하는 기능이 존재한다. #mode 1 (active - backup) /타 운영체제에서는 (active - standby)라고함네트워크 이중화 용도로 사용된다. 실제 사용시에는 2개의 백본에 2개의 NIC이 연결이 되며, 활성화 되어있는 NIC에 문제 발생시 예비 NIC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Linux/Network 2025.01.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