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트워크보안 11

[Network] 포트(Port)란? 간단정리!

네트워크를 공부하다 보면 "포트(port)"라는 개념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포트는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중요한 요소로, 네트워크 통신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입니다. 이 글에서는 포트의 개념부터 역할, 종류, 그리고 보안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포트(Port)란?포트란 네트워크에서 특정 프로세스나 서비스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논리적인 경로입니다. 쉽게 말해, 컴퓨터가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때, 각각의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문"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2. 포트의 역할포트는 컴퓨터의 IP 주소와 결합되어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를 ..

ICMP Flood (Ping Flood)란?

1. ICMP Flood (Ping Flood)란?ICMP Flood(Ping Flood)는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요청을 대량으로 전송하여 네트워크 또는 서버를 과부하 상태로 만드는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 방식입니다.공격자는 대량의 Ping(Echo Request) 패킷을 특정 타겟에게 보내 응답(Echo Reply)을 요구하며, 네트워크 리소스를 소진시켜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을 방해합니다.이 공격 방식은 ICMP 프로토콜의 특성을 악용한 것으로, 서버 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과도한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고 마비되는 효과를 일으킵니다. 2. ICMP Flood의 역할ICMP Flood는 대량의 Ping 요청을 통..

SYN Flood란?

1. SYN Flood란?SYN Flood는 TCP 연결 과정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악용하여 서버의 연결 자원을 소진시키는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 방식입니다.TCP 연결 과정에서 SYN 패킷을 지속적으로 전송하고, 정상적인 ACK 응답을 보내지 않음으로써 서버의 연결 요청을 과부하 상태로 만들어 서비스 거부 상태를 유발합니다.이 공격 방식은 적은 트래픽만으로도 서버의 자원을 빠르게 고갈시키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인 공격 기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SYN Flood의 역할SYN Flood는 네트워크와 서버의 가용성을 방해하여 서비스 운영을 마비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1. 서버의 연결 자원 고갈지속적인 SYN 요청을 보내 서버가 SYN-ACK 응답..

DDoS란? 완벽정리!

1. DDoS란?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는 여러 개의 시스템이 동시에 특정 서버나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대량의 트래픽을 발생시켜 정상적인 서비스를 방해하는 사이버 공격 방식입니다.일반적인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은 단일 시스템에서 발생하지만, DDoS는 여러 개의 감염된 장치(봇넷)를 동원하여 더 강력한 공격을 수행합니다.2. DDoS의 역할DDoS 공격은 웹사이트, 서버,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방해하고, 피해를 입히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1. 서버 다운대량의 요청을 보내 서버가 과부하 상태가 되도록 합니다.2. 네트워크 마비대량의 패킷을 전송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과부하시키고, 정상적인 트래픽을 차단합니다.3. 비즈니..

LACP (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란?

1. LACP란 무엇인가요?LACP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묶어 하나의 논리적인 링크로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스위치 또는 서버에서 여러 개의 물리적 링크를 병합하여 대역폭을 증가시키고,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LACP는 IEEE 802.3ad(Link Aggregation) 표준의 일부이며, 자동으로 링크를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2. LACP의 역할LACP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서 더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1. 대역폭 증가여러 개의 링크를 묶어 사용하므로, 단일 링크보다 더 높은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2. 로드 밸런싱(부하 분산)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링크로 분산하여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3. 장애 복구 및 가용성 향상하나의..

패킷(Packet) 이란?

1. 패킷이란 무엇인가요?패킷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사용되는 작은 데이터 단위입니다.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는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지며, 이렇게 나누어진 데이터 조각을 패킷이라고 합니다.패킷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의 핵심적인 요소입니다.2. 패킷의 역할패킷은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1.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대용량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하는 대신, 작은 패킷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면 빠르고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2. 네트워크 부하 분산패킷 단위로 데이터를 나누어 보내기 때문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할 수 있습니다.3. 데이터 손실 최소화하나의 ..

ARP란?

1. ARP란?ARP는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장치의 MAC 주소를 찾는 프로토콜입니다.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가 데이터를 전송할 때, IP 주소만으로는 직접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MAC 주소를 알아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ARP는 이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네트워크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줍니다. 2. ARP의 동작 방식ARP는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전달할 때 송신 측 장치가 수신 측의 MAC 주소를 알지 못할 경우, 해당 정보를 요청하고 응답받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송신 장치가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합니다.ARP 요청(ARP Request)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로 전송합니다.목적지 장치가 자신의 MAC 주소를 포함한 ARP 응답(ARP Reply) ..

ICMP란?

1. ICMP란?ICMP는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에서 오류 메시지를 전달하고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IP 패킷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했을 때, 해당 문제를 송신 측에 알리거나 네트워크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네트워크 장비와 호스트 간의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핑(Ping) 및 트레이스라우트(Traceroute) 같은 네트워크 진단 도구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2. ICMP의 동작 방식ICMP는 제어 메시지를 통해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류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ICMP 메시지는 일반적인 TCP 또는 UDP 패킷과 달리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만 수행합니다.3. ICMP 메시지..

스패닝 트리(Spanning Tree)란?

1.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란?STP(Spanning Tree Protocol)는 네트워크에서 루프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프로토콜입니다.브리지나 스위치가 여러 개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루프(Loop)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성능 저하 및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STP는 이러한 루프를 감지하고 차단하여 네트워크를 최적화하고,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STP는 IEEE 802.1D 표준으로 정의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개선 버전(STP, RSTP, MSTP 등)이 존재하여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복구 속도를 향상시키고 있습니다.2. STP의 작동 원리STP는 네트워크 내에서 루프가 없는 트리 구조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이..

VLAN(Virtual LAN)이란? 완벽 개념 이해

VLAN과 스위칭 기술: 네트워크 효율을 높이는 핵심 개념현대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수많은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원활한 통신을 수행해야 합니다. 특히, 기업 네트워크에서는 효율적인 관리와 보안 강화를 위해 VLAN(Virtual LAN, 가상 LAN)과 스위칭 기술(Switching Technology)이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이 글에서는 VLAN이 무엇이며, 왜 필요한지, 그리고 스위칭 기술이 네트워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VLAN(Virtual LAN) 개념 이해1) VLAN이란?VLAN(Virtual Local Area Network, 가상 LAN)은 하나의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는 기술입니다.즉, 같은 스위치(Swit..

Network 2025.02.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