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TP 접속 명령어
- ftp [호스트 주소]
FTP 서버에 접속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ftp 192.168.0.1이라고 입력하면 해당 IP의 FTP 서버에 접속합니다. - open [호스트 주소]
FTP 세션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다른 서버로 접속할 때 사용합니다. - close
현재 접속 중인 FTP 세션을 종료할 때 사용합니다. - quit
FTP 프로그램을 완전히 종료합니다.
파일 전송 관련 명령어
- get [파일명]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 사용합니다. - mget [파일명1 파일명2 ...]
여러 개의 파일을 한 번에 다운로드할 때 사용합니다. - put [파일명]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업로드할 때 사용합니다. - mput [파일명1 파일명2 ...]
여러 개의 파일을 한 번에 업로드할 때 사용합니다. - delete [파일명]
서버에서 특정 파일을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디렉토리 관리 명령어
- lcd [디렉토리명]
로컬(클라이언트) 디렉토리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 cd [디렉토리명]
서버의 디렉토리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 mkdir [디렉토리명]
서버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사용합니다. - rmdir [디렉토리명]
서버의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파일 및 디렉토리 확인 명령어
- ls
서버의 현재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과 폴더 목록을 출력합니다. - dir
ls와 비슷하지만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 pwd
현재 서버에서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TP 명령어 요약 테이블
명령어 |
기능 설명 | 추가 정보 |
ftp | FTP 서버에 접속 | 로그인 정보 준비 필요 |
open | 다른 FTP 서버로 접속 | 기존 세션 종료 후 접속 권장 |
close | 현재 FTP 세션 종료 | |
quit | FTP 프로그램 종료 | |
get | 서버에서 파일 다운로드 | 현재 디렉토리로 다운로드 |
mget | 여러 파일 다운로드 | 와일드카드 사용 가능 (*) |
put | 클라이언트에서 파일 업로드 | 현재 디렉토리 파일 업로드 |
mput | 여러 파일 업로드 | 와일드카드 사용 가능 (*) |
delete | 서버 파일 삭제 | 신중하게 사용 |
lcd | 로컬 디렉토리 변경 | 경로 확인 후 사용 |
cd | 서버 디렉토리 변경 | 서버 내 경로 확인 |
mkdir | 서버 디렉토리 생성 | 디렉토리 이름 신중히 입력 |
rmdir | 서버 디렉토리 삭제 | 빈 디렉토리만 삭제 가능 |
ls | 파일/폴더 목록 출력 | 간단한 목록 확인 |
dir | 상세 목록 출력 | 파일 크기, 날짜 등 확인 가능 |
pwd | 현재 작업 디렉토리 확인 | 경로 확인 필요 시 사용 |
binary | 이진 파일 전송 모드 설정 | 이미지, 영상 등 전송 시 필수 |
ascii | 텍스트 파일 전송 모드 설정 | 문서, 코드 등 전송 시 사용 |
반응형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B(Server Message Block)란? (0) | 2025.02.18 |
---|---|
메타데이터(Metadata)란? (0) | 2025.02.17 |
FEP(Front-End Processor)란? (0) | 2025.02.16 |
NFT와 일반 토큰의 기술적 차이점 (1) | 2025.02.14 |
NFT(Non-Fungible Token)란?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