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2, L3, L4, L7 스위치의 종류와 특징
L2, L3, L4, L7 스위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입니다. 이들은 각각 OSI 7계층 중 특정 계층에서 동작하며, 서로 다른 기능과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L2, L3, L4, L7 스위치의 개념과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L2 스위치 (데이터 링크 계층 스위치)
L2 스위치는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주로 LAN(Local Area Network) 내에서 장치 간의 통신을 담당합니다. 이 스위치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특징:
- MAC 주소 테이블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달
- 충돌 도메인을 분리해 네트워크 성능 향상
- VLAN 구성을 통해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구분 가능
- 사용 사례: 사무실 네트워크, 학교 네트워크, 소규모 기업망
2. L3 스위치 (네트워크 계층 스위치)
L3 스위치는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라우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주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지원하며,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합니다.
- 특징:
- IP 주소 기반으로 패킷 전달 및 라우팅 수행
- VLAN 간 라우팅(인터-VLAN 라우팅) 지원
- 액세스 리스트(ACL)를 통한 보안 및 트래픽 제어
- 사용 사례: 대기업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인터넷 백본망
3. L4 스위치 (전송 계층 스위치)
L4 스위치는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며, 주로 TCP/UDP 포트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관리합니다. 주로 로드 밸런싱에 사용되며, 서비스 성능과 가용성을 향상시킵니다.
- 특징:
- TCP/UDP 포트 기반으로 트래픽 분산
- 세션 유지(Session Persistence) 기능 제공
- 패킷 필터링 및 보안 기능 지원
- 사용 사례: 로드 밸런서, 방화벽 장비, 웹 서버 클러스터
4. L7 스위치 (애플리케이션 계층 스위치)
L7 스위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하며, HTTP, HTTPS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관리합니다. 주로 웹 서비스 최적화와 보안 강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 특징:
- URL, 쿠키, HTTP 헤더 기반 트래픽 제어
- 콘텐츠 기반 로드 밸런싱(Content Switching) 지원
- DDoS 공격 방지 및 웹 보안 기능 제공
- 사용 사례: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 리버스 프록시, API 게이트웨이
L2, L3, L4, L7 스위치 비교표
L2 | 데이터 링크 스위치 | MAC 주소 기반 데이터 전달 | 사무실 및 소규모 기업망 |
L3 | 네트워크 스위치 | IP 주소 기반 라우팅 및 인터-VLAN 라우팅 | 대기업 및 데이터 센터 |
L4 | 전송 계층 스위치 | 포트 기반 트래픽 관리 및 로드 밸런싱 | 로드 밸런서, 웹 서버 클러스터 |
L7 | 애플리케이션 스위치 | 애플리케이션 기반 트래픽 제어 및 보안 | WAF, API 게이트웨이 |
간단 요약
- L2 스위치는 MAC 주소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LAN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 L3 스위치는 IP 주소 기반으로 라우팅을 수행하며, 다양한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합니다.
- L4와 L7 스위치는 주로 트래픽 관리와 로드 밸런싱을 통해 서비스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MLAG란? 간단정리! (0) | 2025.02.15 |
---|---|
L2 스위치와 L3 스위치의 차이점 완전 정리! (0) | 2025.02.13 |
TCP와 UDP의 차이점 완벽정리! (0) | 2025.02.02 |
VLAN(Virtual LAN)이란? 완벽 개념 이해 (0) | 2025.02.02 |
TCP/IP 의 개념 간단정리! (0) | 2025.02.02 |